C++
C++에는 sort라는 아주 착한 함수가 있었고
모든 선수가 있는 벡터와, 완주를 한 선수만 있는 벡터 두개가 주어진다.
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복잡하게 접근할 수 있겠지만 높은 확률로 효율성에서 까인다.
솔루션과 같이 sort를 사용하여 두 벡터를 모두 정렬을 한 후, 처음부터 비교를 하다 보면 결국 다른 이름이 나올 때가 있지 마련이고, 이때 participant 벡터의 원소를 리턴하면 답이 나온다.
코드 다시 보니까 participant의 맨 마지막 원소가 답일때, completion의 없는 원소에 접근하려는 경우가 생기는데 지금까지 데이터 접근 오류가 나온 적은 없었다 :Q 혹시 모를 예외 처리를 위해 completion의 크기만큼 for문을 돌고, 마지막에도 answer에 답이 없으면 그때 participant 의 마지막 원소를 리턴하는 솔루션도 나쁘지 않을 듯.
'Write-Up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- 소수의 합 (0) | 2019.03.23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- 모의고사 (0) | 2019.03.23 |
프로그래머스 - 스킬트리 (0) | 2019.03.23 |
프로그래머스 - K번째 수 (0) | 2019.03.23 |